이음 네이버 블로그 이음 페이스북 이음 유튜브 이음 인스타그램

사업안내

문화예술교육 및 인력양성 사업

이음 예술창작 아카데미

아카데미는 장애예술인 창작 역량 강화 및 장애예술 기반 확대를 위한
창작자·매개자·접근성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합니다.

사업내용

장애예술인 대학교 예술교육 과정
장애예술인 수요에 기반을 둔 대학교 협력 예술교육 과정을 운영하여 장애예술인들이 다양한 예술 접근 기회를 누리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장애인 대상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창작자 과정
국내외 예술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및 공동창작 프로젝트, 장애·비장애 협업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매개자 과정
장애인의 특성과 표현방식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장애예술 매개자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접근성 과정
예술현장에서의 접근성 적용 방법을 모색하고 접근성과 관련한 방법론 및 실천방안 탐구 과정을 운영합니다.
예술창작 아카데미 활동모습
예술창작 아카데미 활동모습
예술창작 아카데미 활동모습

ⓒ 예술창작 아카데미

장애예술인 문화예술교육 지원

장애인 당사자성과 감수성을 갖춘 장애예술인을 대상으로 양성과정을 통해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활동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유관기관(시설, 센터, 학교 등)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장애예술인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사업내용

장애예술인 강사 양성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장애예술인 강사 양성 매뉴얼을 개발하여 장애예술인 강사로서의 전문인력을 배출하고자 합니다.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장애유형 및 예술장르별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장애예술인 강사 활동 지원
유관기관(시설, 센터, 학교 등)에서 강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일자리 지원 활동모습

ⓒ 무용분야 수업

일자리 지원 활동모습

ⓒ 미술분야 수업

일자리 지원 활동모습

ⓒ 2023 장애예술인 강사 양성과정 수료식

장애인 예술교육 강좌이용권 지원

장애인의 접근성이 보장되고, 그 특성이 반영된 전문적인 예술교육 및 문화향유 기회 보장을 위한
예술강좌이용권 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기초연구 및 단계별 사업을 운영합니다

사업내용

2023년
기초연구 및 수요조사를 통한 이용권 제도 도입의 가능성 검토 및 중장기적 운영방안을 설계합니다.
2024년
기초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권 우선지역을 선정하여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장애예술인 맞춤형 일자리 지원

장애예술인의 안정적인 문화예술활동과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양질의 예술일자리를 보급 및 확산할 수 있도록
예술직무 훈련 및 직업 예술단 창단 등의 사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업내용

장애예술인 예술직무 전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지원
민간기업 수요에 기반한 문화예술분야 채용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장애예술인을 양성하기 위해 시장성에 기반한 예술직무 과정의 개발과 운영을 지원합니다.
장애인예술단 창단지원
기업 등 고용주체를 통한 직업 장애인예술단의 보급 및 확산을 위해 장애인예술단을 창단하고자 하는 고용주체와, 고용주체에 소속되어 직업예술단으로 활동을 원하는 역량있는 예술단체의 직업예술단 창단 및 준비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합니다.

ⓒ 일자리 지원